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러시아-우크라이나, 3차 평화협상 종료...실질적 진전 미미
러시아 이경은 EC21R&C 연구원 2025/07/31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러시아ㆍ유라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3차 평화협상의 제한적 성과 및 양측 간 입장 차이 지속
o 40분간의 협상 이후 포로 교환 합의
- 7월 23일 이스탄불(Istanbul)에서 개최된 러시아-우크라이나 3차 직접 평화협상은 40분간의 회담으로 마무리되었으며, 추가적인 포로 교환에 합의함. 양측은 각각 250명의 포로를 즉시 교환하고, 향후 각측에서 최소 1,200명의 포로를 추가로 교환하기로 합의함.
- 러시아 측은 우크라이나-벨라루스 국경에서 3,000구의 전사자 시신을 인계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으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ymyr Zelenskyy)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최근 이스탄불 합의의 모든 단계를 통해 1,000명 이상의 우크라이나인이 송환되었다"고 발표하며 양국 간 포로 송환 합의 성과를 강조함.
o 휴전 조건 및 평화협정에 대한 양측의 입장 차이 지속
- 우크라이나는 "효과적인 외교를 위한 기반으로서 완전하고 무조건적인 휴전"을 주요 조건으로 제시하였으나, 러시아는 24-48시간의 단기 휴전을 제안하여 양측 간 근본적인 견해 차이가 지속됨. 이와 관련, 블라디미르 메딘스키(Vladimir Medinsky) 러시아 대통령 보좌관은 "지난번 제출된 각측의 각서에 명시된 입장들을 장시간 논의하였으나, 양측 입장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평가함.
- 특히,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영토 내 불법 점령지 인정, 우크라이나의 향후 군사력 제한, NATO 가입 거부 등을 지속 요구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는 영토 완전성 회복과 동맹 선택권 등을 요구하고 있어 주권 문제를 중심으로 양국 간 입장 차이가 지속되고 있음.
□ 러시아, 트럼프 대통령의 50일 최후통첩에도 강경한 입장 고수
o 트럼프 대통령, 9월 2일 마감 최후통첩 발령...위반 시 신규 제재 경고
-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7월 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단을 위한 50일 기한을 설정하며, 9월 2일까지 휴전 진전이 없을 경우 러시아의 남은 무역 파트너들에 대해 강력한 2차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경고함. 이는 인도와 중국을 포함한 러시아의 할인된 석유 및 가스 구매국들을 겨냥한 것으로, 러시아의 전쟁 경제에 필수적인 외화 수입을 차단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임.
-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 NATO 동맹국들을 통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공급하는 새로운 방식에도 합의한 것으로 알려짐.
- 한편 유럽연합(EU) 역시 최근 러시아 석유 수출에 대한 가격 상한선을 낮추고, 기존 제재를 회피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제3국의 러시아 은행 및 금융기관과의 모든 거래를 금지하는 새로운 제재 패키지를 발표함.
o 러시아, 對우크라이나 군사작전 지속
- 트럼프의 50일 최후통첩이 발표된 지 약 10일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양측 간의 충돌이 지속되고 있음. 특히 러시아는 주요 우크라이나 도시들에 야간 드론 및 미사일 공습을 지속하고 있으며, 약 1,000 킬로미터(km)에 달하는 전선에서 점진적인 영토 확보 작전을 전개하고 있음.
-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러시아 대통령은 트럼프의 최후통첩을 공개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드미트리 페스코프(Dmitry Peskov) 러시아 대통령실 부실장은 협상 전 "양측의 협상 입장이 정반대로 대립하고 있다"고 평가, "기적적인 돌파구(miraculous breakthroughs)를 기대하지 말라"고 언급한 것으로 확인됨.
□ 튀르키예, 양국 정상회담 관련 기본 합의 도달 발표
o 8월 말 러-우 정상회담 개최 관련 기본 합의 도달
- 하칸 피단(Hakan Fidan) 튀르키예 외교부장관은 "양국은 이번 회담을 통해 양국 지도자들이 만날 수 있는 조건들에 대해 논의했다"고 언급하며, 이번 평화회담 이후 "러-우 양국 간 튀르키예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에 대한 기본적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발표함.
- 이번 회담에서 우크라이나 대표단을 이끈 루스템 우메로프(Rustem Umerov) 前 우크라이나 국방부장관은 "8월 말까지 젤렌스키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 간의 직접 회담을 제안했으며, 동 회담에 트럼프 대통령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Recep Tayyip Erdoğan) 튀르키예 대통령의 참여를 기대한다"라고 설명함.
o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주요 도전 과제 및 튀르키예의 중재자 역할 강화
- 한편 러시아 측은 8월 정상회담에 조건부 참여 입장을 표명하고 있음. 메딘스키 보좌관은 "정상 간 회담은 주요 문서 서명을 위해서만 적절하며, 논의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으며, 페스코프 부실장은 푸틴-젤렌스키 회담 가능성을 인정하는 한편 "평화협상의 최종 단계에서만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 "한 달 내 개최는 가능성이 낮다"고 평가함.
- 상기 러시아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피단 장관은 "양국 간 회담이 지속된다면 임시적 해결책에 도달할 것으로 믿는다"고 언급하며, 튀르키예의 중재 역할 수행에 대한 의지를 강조함. 아울러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 역시 튀르키예 언론사 아나돌루 통신(Anadolu Ajansi)과의 인터뷰에서 젤렌스키-푸틴 회담 주선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확인됨.
< 감수 : 이평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Ukrainska Pravda 25, Russia's war against Ukraine: Türkiye speaks of potential "leaders' summit", 2025.07.26.
RT, Russia and Ukraine agree on leaders’ summit – Turkish FM, 2025.07.26.
Ukrainska Pravda 25, Turkish president seeks to bring Putin and Zelenskyy together in Istanbul, 2025.07.25.
CNN World, Russia and Ukraine agree prisoner swap, but little other progress in Istanbul talks, 2025.07.24.
The Conversation, Russia-Ukraine talks: both sides play for time and wait for Donald Trump’s 50 days to run out, 2025.07.24.
France 24, Ukraine and Russia agree to new prisoner swap during brief peace talks, 2025.07.23.
CBS News, Russia rejects Trump's demand for a Ukraine war ceasefire in 50 days as unacceptable, 2025.07.15.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타지키스탄, 아프간 난민 15일 내 자발적 출국 명령 | 2025-07-25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투르크메니스탄, 에너지 외교 다변화를 통한 지정학적 입지 강화 | 2025-07-31 |